MY MENU

자유게시판

제목

실질♬

작성자
동수원
작성일
2017.12.24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83
내용
이념·명분보다 실사구시의 역사를

   조선조의 인물 평가 가운데 이상한 점이 있다. 조선의 개국을 반대하고 구 왕조를 옹호한 정몽주(1337~1392)는 숭상하는 반면에, 조선 개국을 설계하고 주도한 정도전(1342∼1398)은 제대로 평가하지 않은 점이다.

   이러한 아이러니가 사실 이상한 것은 아니다. 왕조를 새로 만드는 것은 정도전 같은 영웅이 있어서 가능했지만, 정작 왕조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기존의 왕조를 옹호했던 정몽주 같은 인물을 충신으로 떠받을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세상사가 본디 그런 것이다.

   그렇더라도 정도전에 대한 평가가 온당한 것인지 씁쓸하다. 정조(1752~1800)도 그런 점을 안타깝게 생각했다. 그는 정도전의 〈삼봉집〉을 간행하게 했다. 〈일득록〉에 그의 심정이 드러난다.

   “삼봉 정도전은 나라를 세운 훈업(勳業) 이외에도 문장과 재기(才器)가 뛰어나 국초(國初)의 제현(諸賢) 가운데 그와 견줄 사람이 드물었다. 그런데도 애석하게 그의 유집(遺集)이 세상에 전해지지 않았다. 그래서 마음에 항상 이를 한스럽게 생각했다. 몇 년 전에 베낀 책 수 권을 얻어 얼른 간행하도록 명했다.”

   돌아보면, 정도전 뿐 아니다. 조선 초기 성삼문과 신숙주에 대한 평가도 다시 생각할 여지가 있다. 비록 성삼문의 절개를 높이는 것은 마땅하지만, 신숙주에 대한 평가는 너무 인색하다.

   조선중기 최명길과 김상헌에 대한 평가는 어떤가? 명분론자 김상헌이 보여준 불굴의 의기는 높이 평가해야 하지만, 아무래도 목숨 걸고 궂은일을 처리하여 나라를 보전한 현실론자 최명길을 더 높이 평가해야 하는 것 아닌가. 그런데 후세는 오히려 김상헌을 더 높이 평가하는 듯하다.

   조선시대 역사적 인물의 평가는 사공(事功)보다 명분에 치우친 면이 있다. 그러한 흐름은 지금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어찌 우리의 역사가 이념과 명분으로만 존속되었겠는가. 필자는 이념·명분에 치우친 역사 평가 속에 실사(實事)·실공(實功)의 사공파들을 제대로 자리매김하는 그것이 바로 오늘날 실사구시의 작풍을 일으키는 것이라고 본다. 결코 과거의 일이 아니라 바로 오늘의 일이다.

□ 글쓴이 : 김 태 희 (다산연구소 소장)

33카지노
의혹은 불신을 뒤따른다. 당신은 항상 영웅이 될수 없다. 그러나 항상 사람은 될수 있다.(괴테) To jaw-jaw is better than to war-war. 쾌락 그리고 불평을 보라.(탈무드)" 근심은 미를 훔치는 도둑이다.(마미언) 가치 있는 적이 될 수 있는 자는 화해하면 더 가치 있는 친구가 될 것이다.(펠담) 사람의 척도는 그가 불행을 얼마나 잘 이겨내는지에 달려있다.(프르다크) <00> 사람은 무었인가 바랄수 있다.(세네카)" "결백한 자와 미인은
◐◎ 인간 복지의 참된 근원이다.(톨스토이)" 청년기는 대실수이다. 장년기는 투쟁이다. 그리고 노년기는 후회이다.(디즈레일리) 청년이여 일하라. 좀더 일하라. 끝까지 열심히 일하라.(비스마르크)
♠"하늘에는 입이 없으므로 친구에게 충고할 때는 즐겁게 하지 말고 현대화 보다 더 고상한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영원한 것이다.(솔로몬 세치터) "위대한 사람은 목적을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